분류 전체보기 137

2-1. WOL 설정에서 필요한 추가 사항

지난번 포스팅에서 원격 데스크톱 설정을 정리 했었는데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 있었다. 메인보드 설정은 각각의 메인보드 제작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간단하게 검색해서 알아보면 되겠지만. 문제는 윈도우 10의 설정 문제였다. 아래 시작 스위치에서 마우스 우클릭 - 전원 옵션 - 전원 단추 작동 설정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 클릭 순으로 따라가면 종료 설정에서 빠른 시작 켜기(권장) 기능에서 체크를 제거 할수 있다. 정확이 어떤 원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설정으로 인해서 WOL기능이 막혀 있었다. 하.. 이제 외부에서 자유롭게 컴퓨터를 켜고 끌수 있게 되었다. ㅊㅋ

2. 원격 데스크톱 설정.

원격 데스크톱 설정은 1번 과정에서 반은 완료된 상태이다. 일반 PC에서 원격 데스크톱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PC측에서 설정을 진행해야 할 것은 아래와 같다. 위의 두 과정으로 PC에서 해야하는 설정은 끝났다. 이제 해야할 것은 외부 PC에서 설정솔직히 설정이라고 할 것도 없이 Microsoft에서 배포하는 remote DeskTop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새로운 새션 연결을 선택하고 PC name에는 IP주소 : 3389(원격 데스크톱 포트 번호) User name/password에는 PC에서 사용하는 계정 정보를 넣어주면 된다.

1. WOL 설정

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이며 동시에 외부에서의 접속을 원할 때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외부에서 직접 접속이 안된다. o 공유기를 사용하게 되면 해당 PC는 공유기를 기준으로 새로운 local ip address를 할당 받게 된다. o 할당 받는 IP의 경우 PC가 재부팅 될 때마다 새로운 IP를 할당 받게된다. 2. 외부에 있을 경우 PC를 항상 켜둘 것인가? o 요즘은 저전력 PC가 많이 있기는 하지만, 사용해보면 결국 저전력은 저전력일 뿐, 무언가를 하기위해서 Power full한 PC파워를 얻기는 힘들다. o 일반 PC를 필요할 '때' 사용하고 싶다 --> WOL(wake on lan) 기능을 통해서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된다. 이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간편하게 기존 설정해본 경..

코드 관리 & 미디어 서버 만들기

이전에 사용하던 PC를 이용해서 개발하려던 건데.. 2년이 시간이 흐르고 불안하던 동작도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결국 새로운 PC로 구매해서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사양은 아래와 같다. 일단. 지금 목표는 아래와 같은 설정을 목표로 한다.1. 미디어 서버o 외부에서 컴퓨터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o 외부에서 컴퓨터 내의 미디어를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2. 코드 관리 서버o 코드 관리 필요한 SW(git or SVN)을 설치하고 Compile & 디버깅 할 수 있게 해준다. o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속할 경우에 GUI를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문제가 있을 요지가 크기 때문에, 가능하면 SSH를 이용해서 해본다. o GUI 또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 (아무래도 GUI가 편하니..

finefix s1500구입

카메라를 하나 사서 사진을 좀 배워보고 싶던차에 활동하던 카페에서 하이엔드 카메라가 싸게 나왔다 그래서 그냥 샀다 대충 술한잔 가격정도? 찾아보니 1000만 화소 2009년 후기 모델 정도였는데 그럭저럭 잘 찍으면 폰카보다 잘나오는 정도 못찍으면 폰카가 잘 나오는 수준인거 같다 이걸로 좀 배우고 형한테 부탁해서 카메라 좋은 놈으로 하나 구해봐야겠다 다만 배터리 덮게 부분이 완전히 덮히지가 않는데 이거 수리 할 수 있으면 해봐야겠다 그냥 쓰기는 좀 아쉬우니까...​